티스토리 뷰

경제문답

경제지표와 GNP

바로오토 장대리 2020. 6. 18. 02:17

 

넓게 본 경제, 좁게 본 경제

 

경제의 움직임을 전체적으로 넓게 볼 수도 있고, 경제 전체를 이루는 부분들을 자세히 들여다 볼 수도 있다.

숲과 나무 가운데 주로 나무를 들여다보는 식으로 좁은 시각에서 보는 경제의 움직임. 예를 들자면 개별 기업이나 소비자의 경제행동을 '미시경제'라고 한다.

 반면 숲과 나무 가운데 숲을 보는 식으로 한 나라의 경제 전체가 움직이는 모습을 볼 수도 있다. 이렇게 시야를 넓게 해 바라보는 경제를 '거시경제'라 부른다.

 

경제 상태가 어떤지 알려주는 경제지표

 

경제가 어떻다고 흔히 말하기는 하지만 실상 경제는 구체적으로 눈에 보이거나 손에 잡히는게 아니다.

그렇다면 경제가 좋아졌다느니 나빠졌다느니 하고 평가하는 얘기는 무엇을 기준으로 하는 말일까?

여기에 쓰이는게 '경제지표'이다.

 경제지표란 미시, 거시 경제 각 부문의 상태를 숫자를 써서 알아 볼 수 있게 나타낸 것이다. 물가상승률, 경제성장률, 국제수지, 실업률 같은 것들이 그런 예다. 다음 예는 물가 상승률이라는 경제지표를 써서 우리가 경제를 어떻게 평가할 수 있는지 보여준다.

 

'소비자물가상승률은 재작년에 비해 전년도에 5%, 전년도에 비해 올해 10%가 올랐다. 올해의 물가상승률은 작년의 물가상승률보다 두 배나 높아서 물가가 크게 올랐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물가가 예년에 비해 갑자기 크게 뛰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결국 물가가 크게 오른 올해의 경제(상태)는 작년보다 나빠졌다'

 

이 예에서 보듯 경제지표는 경제의 상태를 숫자로 나타냄으로써 경제상태를 비교하고 분석하는 데 쓰인다. 경제를 파악하기 위해서 전문가들은 경제지표를 만들어내거나 여러 경제지표를 써서 경제를 보는 견해와 예측을 발표하곤 한다.

 

 

 

경제지표의 대표 GNP를 마스터 하자!

 

국민총생산 곧 GNP(Gross National Product)는 경제지표의 대표격이다.

한 나라의 국민이 일정기간(보통 1년) 동안 새로 생산해낸 재화와 서비스 전체의 생산량에 판매가격을 곱해 계산해낸 금액이다.

GNP의 개념에 대해서는 주의할 점이 있다.

첫째, 어디까지나 '새로' 생산된 재화, 서비스의 금액만 대상으로 한다.

둘째, 새로 생산된 재화, 서비스라 할지라도 시장에서 값을 치르고 매매된 것이라야만 GNP에 합산한다.

예를들어 냉면 한 그릇을 새로 만들어 내는데 필요한 재료를 밀가루든 양념이든 몽땅 집에서 만들어 먹는다면 GNP에는 냉면 생산비가 합산되지 않는다. 매매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러나 냉면을 만들어 먹으려고 밀가루를 마트에서 사왔다면 밀가루 값으로 치른 금액은 GNP에 들어간다.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우리나라에서 1년동안 생산되는 재화가 오직 한 군데의 식당 '냉면옥'에서 만들어 파는 단 한 그릇의 냉면과 오직 한 군데의 재료 가게에서 만들어 파는 단 한 봉지의 냉면 재료뿐이라고 가정해보자.

 '냉면옥'에서는 3천원을 내고 재료 가게에서 사온 재료 한 봉지로 냉면 한 그릇을 만들어, 1년 사이에 찾아온 단 한 명의 손님에게 7천원에 팔았다.

 냉면값 7천원과 재료값 3천원을 합한 1만원을 우리나라의 연가 GNP로 계산한다면 잘못이다. 완성된 냉면 한 그릇의 값 7천원에는 재료값 3천원이 이미 들어있기 때문이다. GNP를 1만원으로 잡으면 재료 값을 두번 더하는 이중계산을 하는 셈이다.

 '새로 만들어진' 재화의 금액만 계산에 넣는다는 GNP 계산 원칙을 제대로 따른다면, 이 예시에서 우리나라의 GNP는 다음과 같이 계산해야 한다.

 

재료 값 3천원 + 냉면 값 7천원에서 재료값 3천원을 빼고 남은 4천원 = 7천원

 

앞의 예시처럼 냉면 재료값이 완성품 냉면 값에 다시 포함돼 이중으로 계산되는 일을 피하기 위해, GNP는 최종생산물의 금액에서 원재료를 포함한 중간생산물의 금액을 빼고 계산한다. 그야말로 '새로' 생산된 재화, 서비스의 금액만 계산에 넣는다.

 우리나라 국민이 만들어 팔아서 얻는 금액이라면 모두 계산에 넣으므로, 우리 기업이 미국에 공장을 짓고 컴퓨터를 만들어 팔아 얻는 수입도 모두 GNP에 들어간다.

'경제문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가가치 란?  (0) 2020.06.19
경제란 무엇일까?  (0) 2020.06.16
댓글
댓글쓰기 폼
공지사항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3,064
Today
1
Yesterday
1
링크
«   2023/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