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복수용어에서 단종어 외래어가 차지하는 비율이 에 제시된 것처 럼 한국은 6.5%이고 일본은 14.5%이다. 이 수치는 에 제시된 단 수용어에서 단종어 외래어가 차지하는 비율인 한국 2.8%, 일본 4.6%보다 한국의 경우 2.3배, 일본의 경우 3.2배나 높다. 그리고 혼종어를 포함한 외 래어의 활용에서도 복수용어의 경우 에서 알 수 있듯이 한국이 11,8%, 일본 17.1%이다. 에 나타난 단수용어의 비중인 한국의 7.1%, 일본의 10.2%보다 한국과 일본이 각각 11,8%와 17.1%로 높아졌음 을 알 수 있다. 이처럼 한일 양국이 다 복수용어에서 외래어의 활용빈도가 높아지는 이 유는 한국과 일본 모두 외래어를 고유어나 한자어와 병용하려는 성향 때문 일 것이다. 그러나 한국의 경우 2)절 및 3)절..

단수용어와 복수용어의 어종별 변화의 양상을 알아보기 위해 에 단수용어의 고유어, 한자어 및 외래어 분포 비율을, 에 복수용어의 분포비율을 나타내었다. 과 를 비교해보면 복수용어의 어종별 분포비율이 단수 용어의 어종 비율에 비해 한국과 일본 모두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또 한 양국이 어종별 활용에서도 서로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우선 고유어 의 부분을 생각해 보면 단수용어에서 한국은 4.45%, 일본은 4.28%로 거의 양쪽 다 그 활용비중이 낮으면서도 아주 비슷한 분포를 보이고 있다. 그러 나 복수용어 부분을 보면 한국은 그 비율이 15.5%로 단수용어에 비해 3.5 배 높은 반면에 일본은 4.7%로 단수용어와 거의 변화가 없다. 이처럼 한국이 전체 어종분포에서는 고유어 활용이 낮은 분포를 보이..

단종어와 혼종어의 분포 에 나타난 복수용어의 수량별 분포를 보면 한국은 일본에 비해 약 배에 이르는 복수 4.4 용어를 인정하고 있다. 그러면 복수용어가 어종별 로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고 그 특성은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해 이들을 어 종별로 분류하여 그 분포를 와 에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 를 단수용어와 분포비율을 비교하기 위해 단수용어의 분포를 에 제시하였다. 여기서 눈에 띄는 어종분포의 변화는 단종어의 비중이다. 에 나타 난 복수용어의 어종별 분포비율을 보면 단종어 중 고유어나 외래어는 한국 과 일본 모두 단수용어의 분포에 비해 증가했고, 역으로 한자어는 양국 모두 감소했다는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단종어 전체로 보면 한 국의 경우 단수용어보다 복수용어의 단종어 분포비중이 낮아진 반면 일본 을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