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종어 분포 단종어란 고유어 한자어 , , 외래어 등의 한 어종만으로 이루어진 단어를 말하며, 그 예는 와 같다. 에서 볼 수 있듯이 한국과 일본의 단종어 분포는 각각 84.8%와 83.8%로 양국이 다 전체 용어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단종어의 분포 비율이 극히 높은 이유는 한국과 일본 양쪽 모두 한 자어의 사용비중이 한국은 79.6%, 일본이 77.5%로 대단히 높기 때문일 것 이다. 이는 한국과 일본 양국이 과학기술용어에서 한자어의 활용 비중이 매 우 높다는 것을 나타낸다. 한국과 일본의 단종어 비율이 1.01 (84.8%/83.8%)로 거의 비슷한 수치를 보여 주는 것 역시 주된 원인이 한 자어의 비중이 높기 때문일 것이다. 혼종어의 분포 혼종어란 어종이 다른 단종어가 둘..

어종(語種)이란 단어들이 어느 말에서 유래된 것인가란 관점에서 분류한 것으로, 원래는 고유어와 외래어로 나눈다. 그런데 국제사회의 활발한 교류 로 인해 언어사용의 경제성과 편리함을 위하여 고유어와 외래어가 혼합되 어 조어된 혼종어도 만들어졌다. 그러나 한 ․ 일 양국의 경우 한자어가 원 래는 외래어로 도입되었으나 일찍부터 양국의 언어에 동화되면서 외래어라 는 의식이 희박해져 외래어라고 하면 한자어를 제외한 다른 외국에서 들어 온 말을 가리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럼에도 본고에서는 한 ․ 일 양국의 천문학 용어에서 한자어가 얼마나 많은 영향을 주었는지 알아보기 위해 한자어도 하나의 독립적인 어종으로 분류하였다. 따라서 본고는 어종을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 혼종어로 구별 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또한 혼종..

崔殷爀(2006년)은 「韓 ․ 日兩國言語の漢字語表記 對照硏究」12)에서 한 국에서 일본어를 배우는 학습자들에게 보다 용이한 일본어 학습법을 소개 하면서 일본한자의 의미 및 사용법을 아는 것은 일본 언어문화를 이해하기 위해서 당연하고도 필수적인 것이라고 하면서 한 ․ 일 양 언어의 한자 표기 어를 대조하여 한 ․ 일 양 언어의 표기법 차이를 다음과 같이 분류 했다. 1. 字는 같고 義가 다른 단어(同字異義語) 2. 義는 같고 字가 다른 단어(異字同義語) 音讀みの漢語との對照 和語との對照 湯桶讀みの字音어語との對照 重箱讀みの字音어語との對照 3. 字는 같고 義도 대체로 같은 단어(同字同義語) 4. 단어의 일부를 생략하고 있는 한자어 등 네 가지로 분류하였다. 金愛東(2007년)의「西洋語起源の外來語受容に関する韓日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