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오다 유다이(鹽田雄大,1999)는 「日本 ․ 韓國 ․ 中國の 專門用語 -日本 語とはどのくらい似ているか-」8) 라는 논고에서 言語學 術語를 대상으로 한자어 사용에 있어서 한국 ․ 중국 ․ 일본의 同形과 非 同形에 대하여 논하 였다. 鹽田는 이 논고에서 같은 한자어를 사용하고 있는 한 ․ 중 ․ 일 삼국 의 言語學 術語에서 세 나라의 한자 어형이 일치하는 비율이 한 ․ 일간에는 69%로 높은 반면에 일 ․ 중간에는 18.2%로 어형 일치비율이 낮고, 한 ․ 중 간에는 16.6%로 일치비율이 더욱 더 낮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또한 한자 의 종주국인 중국보다 그 한자를 받아들인 한 ․ 일 양국 사이에서 同形字 용어 사용이 더욱 일치한다고도 주장하였다. 鹽田는 한 ․ 일 양국 사이에 전문용어의 同形字 語形이 더..

연구방법 비교분석에 있어서 객관적이고 명확함을 기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기 준을 제시하였다. 첫째, 비교분석을 하기 위하여 선정된 양국의 용어 4,058 어를 데이터베이스화할 필요가 있어서 이를 테이블로 만들었다. 테이블의 모양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영어, 한국어, 일본어표기, 일본어발음, 분류 순으로 나열하였다. 테이블의 모양은 아래와 같다. 둘째 용어의 표기는 비교의 , 용이함과 인식의 편리함을 위하여 한국의 용 어는 한자어 용어인 경우에는 한자어로 표기하고 고유어와 외래어는 한글 로 표기하였다. 일본용어는 한자와 히라가나 가타카나로 표기하되 고유어와 한자어의 구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발음을 ‘가타카나’로 병기하였다. 셋째, 비교분석의 객관성을 위하여 하나의 통일된 기준어가 필요하여 그 기준이 ..

천문학 용어의 어종분포는 한국과 일본에서 비슷한 어종별 분포를 보이고 있다. 한일양국의 어종별 분포를 살펴보면 고유어의 분포에서는 한국은 전체 비율 중 한 국이 5.5%, 일본 4.3%로 양국이 모두 가장 낮은 어종분포를 보이고 있다. 그 다음 으로 낮은 분포비중을 나타내는 것은 외래어로 한국이 7.5%, 일본이 10.4%에 이 른다. 이와는 달리 한자어의 분포비중은 한일 양국이 모두 매우 높은 분포를 보여 한국이 87% 일본이 85.3%로 전체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극히 높은 분포를 보인다. 이는 과학기술용어가 가지는 특징으로 보이는데 양국이 모두 한자어의 분포가 높은 이유로는 한자어가 가지는 가장 큰 장점인 풍부한 조어력으로 복잡하고 다양 한 상황이나 현상을 간단명료하게 표현 할 수 있기 때문에 한자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