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복수용어에서 단종어 외래어가 차지하는 비율이 에 제시된 것처 럼 한국은 6.5%이고 일본은 14.5%이다. 이 수치는 에 제시된 단 수용어에서 단종어 외래어가 차지하는 비율인 한국 2.8%, 일본 4.6%보다 한국의 경우 2.3배, 일본의 경우 3.2배나 높다. 그리고 혼종어를 포함한 외 래어의 활용에서도 복수용어의 경우 에서 알 수 있듯이 한국이 11,8%, 일본 17.1%이다. 에 나타난 단수용어의 비중인 한국의 7.1%, 일본의 10.2%보다 한국과 일본이 각각 11,8%와 17.1%로 높아졌음 을 알 수 있다. 이처럼 한일 양국이 다 복수용어에서 외래어의 활용빈도가 높아지는 이 유는 한국과 일본 모두 외래어를 고유어나 한자어와 병용하려는 성향 때문 일 것이다. 그러나 한국의 경우 2)절 및 3)절..

단수용어와 복수용어의 어종별 변화의 양상을 알아보기 위해 에 단수용어의 고유어, 한자어 및 외래어 분포 비율을, 에 복수용어의 분포비율을 나타내었다. 과 를 비교해보면 복수용어의 어종별 분포비율이 단수 용어의 어종 비율에 비해 한국과 일본 모두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또 한 양국이 어종별 활용에서도 서로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우선 고유어 의 부분을 생각해 보면 단수용어에서 한국은 4.45%, 일본은 4.28%로 거의 양쪽 다 그 활용비중이 낮으면서도 아주 비슷한 분포를 보이고 있다. 그러 나 복수용어 부분을 보면 한국은 그 비율이 15.5%로 단수용어에 비해 3.5 배 높은 반면에 일본은 4.7%로 단수용어와 거의 변화가 없다. 이처럼 한국이 전체 어종분포에서는 고유어 활용이 낮은 분포를 보이..

단종어와 혼종어의 분포 에 나타난 복수용어의 수량별 분포를 보면 한국은 일본에 비해 약 배에 이르는 복수 4.4 용어를 인정하고 있다. 그러면 복수용어가 어종별 로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고 그 특성은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해 이들을 어 종별로 분류하여 그 분포를 와 에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 를 단수용어와 분포비율을 비교하기 위해 단수용어의 분포를 에 제시하였다. 여기서 눈에 띄는 어종분포의 변화는 단종어의 비중이다. 에 나타 난 복수용어의 어종별 분포비율을 보면 단종어 중 고유어나 외래어는 한국 과 일본 모두 단수용어의 분포에 비해 증가했고, 역으로 한자어는 양국 모두 감소했다는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단종어 전체로 보면 한 국의 경우 단수용어보다 복수용어의 단종어 분포비중이 낮아진 반면 일본 을 그..

복수용어의 인정 한국과 일본 양국은 천문학 용어에 있어 어느 정도의 複數用語를 인정하 고 있다. 복수용어란 하나의 영어 기준어를 2개 이상의 용어로 번역하여 표준용어로 인정하여 사용하는 경우를 말한다. 그 예를 에 나타내었 다. 한일 양국의 복수용어의 인정을 수량별 분포를 〈표 8>과 으로 나타내었다. 〈표 8〉 수 있듯이 한국은 총 364어의 복수용어를 채택하고 있 는 반면 일본은 83어만을 채택하고 있다. 이는 한국의 경우 복수용어 선택 이 전체 용어의 9.0%에 이르지만 일본은 2.0%에 불과하다는 것을 나타낸 다. 복수용어를 몇 개까지 허용하는지에 대해서도 한국과 일본은 많은 차이 를 보인다. 에서 보듯이 한국은 2개의 복수용어를 인정하는 경우가 334어 로 전체 복수용어의 91.8%에 이르고, ..

한국과 일본의 언어 속에 한자어가 많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은 잘 알려 진 사실이다. 이 같은 점은 전문 학술용어인 천문학 용어에서도 잘 나타난 다. 에서 알 수 있듯이 한국과 일본은 단종어 한자어가 천문학 용어 전체의 각각 79.6%와 77.5%나 차지하고 있다. 특히 혼종어까지 포함한 한 자어의 분포는 에서 알 수 있듯이 한국과 일본 모두 87.0%와 85.3%에 이른다. 이는 양국 모두 천문학용어의 대부분을 한자어로 사용하 고 있음을 의미한다. 양국 모두 이처럼 한자어를 많이 활용하는 이유 중 하나는 앞서 지적한 것처럼 한자의 뛰어난 조어능력과 편리성에 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이처 럼 탁월한 한자의 조어능력은 복잡한 현상이나 사물의 구조 등을 간략하고 명확하게 나타낼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전문 ..

고유어는 존재하지만 , 실제 사용이 거의 되지 않는 경우를 들 수 있 다. 예를 들면 “球狀星團(globular cluster)”같은 용어의 경우 순 우리말로 “공꼴별무리”라 칭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마치 축구용어에서 “corner kick”을 한 때 순 우리말인 “구석차기”라 부르기도 했지만 결국 외래어인 “corner kick”이 현실에 정착되어 사용되고 있는 것처럼 천문학 용어에서도 언어의 사용 편의상 한자어나 외래어가 사용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銀河水” 역시 사전 상에는 “미리내”라는 순수한 우리말이 존재하지 만 한국의 천문학용어집에서는 고유어가 채택되지 않고 한자어인 “銀河水” 를 채택하고 있다. 셋째, 복합어인 경우 순수한 고유어만으로는 구성되기 힘든 용어들이 있 다. 예를 들어 ..

단종어 분포 단종어란 고유어 한자어 , , 외래어 등의 한 어종만으로 이루어진 단어를 말하며, 그 예는 와 같다. 에서 볼 수 있듯이 한국과 일본의 단종어 분포는 각각 84.8%와 83.8%로 양국이 다 전체 용어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단종어의 분포 비율이 극히 높은 이유는 한국과 일본 양쪽 모두 한 자어의 사용비중이 한국은 79.6%, 일본이 77.5%로 대단히 높기 때문일 것 이다. 이는 한국과 일본 양국이 과학기술용어에서 한자어의 활용 비중이 매 우 높다는 것을 나타낸다. 한국과 일본의 단종어 비율이 1.01 (84.8%/83.8%)로 거의 비슷한 수치를 보여 주는 것 역시 주된 원인이 한 자어의 비중이 높기 때문일 것이다. 혼종어의 분포 혼종어란 어종이 다른 단종어가 둘..

어종(語種)이란 단어들이 어느 말에서 유래된 것인가란 관점에서 분류한 것으로, 원래는 고유어와 외래어로 나눈다. 그런데 국제사회의 활발한 교류 로 인해 언어사용의 경제성과 편리함을 위하여 고유어와 외래어가 혼합되 어 조어된 혼종어도 만들어졌다. 그러나 한 ․ 일 양국의 경우 한자어가 원 래는 외래어로 도입되었으나 일찍부터 양국의 언어에 동화되면서 외래어라 는 의식이 희박해져 외래어라고 하면 한자어를 제외한 다른 외국에서 들어 온 말을 가리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럼에도 본고에서는 한 ․ 일 양국의 천문학 용어에서 한자어가 얼마나 많은 영향을 주었는지 알아보기 위해 한자어도 하나의 독립적인 어종으로 분류하였다. 따라서 본고는 어종을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 혼종어로 구별 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또한 혼종..

崔殷爀(2006년)은 「韓 ․ 日兩國言語の漢字語表記 對照硏究」12)에서 한 국에서 일본어를 배우는 학습자들에게 보다 용이한 일본어 학습법을 소개 하면서 일본한자의 의미 및 사용법을 아는 것은 일본 언어문화를 이해하기 위해서 당연하고도 필수적인 것이라고 하면서 한 ․ 일 양 언어의 한자 표기 어를 대조하여 한 ․ 일 양 언어의 표기법 차이를 다음과 같이 분류 했다. 1. 字는 같고 義가 다른 단어(同字異義語) 2. 義는 같고 字가 다른 단어(異字同義語) 音讀みの漢語との對照 和語との對照 湯桶讀みの字音어語との對照 重箱讀みの字音어語との對照 3. 字는 같고 義도 대체로 같은 단어(同字同義語) 4. 단어의 일부를 생략하고 있는 한자어 등 네 가지로 분류하였다. 金愛東(2007년)의「西洋語起源の外來語受容に関する韓日兩..

시오다 유다이(鹽田雄大,1999)는 「日本 ․ 韓國 ․ 中國の 專門用語 -日本 語とはどのくらい似ているか-」8) 라는 논고에서 言語學 術語를 대상으로 한자어 사용에 있어서 한국 ․ 중국 ․ 일본의 同形과 非 同形에 대하여 논하 였다. 鹽田는 이 논고에서 같은 한자어를 사용하고 있는 한 ․ 중 ․ 일 삼국 의 言語學 術語에서 세 나라의 한자 어형이 일치하는 비율이 한 ․ 일간에는 69%로 높은 반면에 일 ․ 중간에는 18.2%로 어형 일치비율이 낮고, 한 ․ 중 간에는 16.6%로 일치비율이 더욱 더 낮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또한 한자 의 종주국인 중국보다 그 한자를 받아들인 한 ․ 일 양국 사이에서 同形字 용어 사용이 더욱 일치한다고도 주장하였다. 鹽田는 한 ․ 일 양국 사이에 전문용어의 同形字 語形이 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