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가가치란 무엇일까? GNP 못지 않게 경제기사에 자주 오르내리는 말이 부가가치다. 부가가치란 생산과정에서 새로이 생산된 재화, 서비스의 금액이다. 바로 GNP에 넣는 금액이다. GNP란 한 나라 국민 전체가 일정 기간에 새로 만들어내는 부가가치가 GNP라고 말해도 똑같은 뜻이 된다. 앞선 포스팅과 마찬가지로 '냉면옥'이 3천원을 주고 사 온 재료 한 봉지로 냉면 한 그릇을 만들어 7천원에 판다고 가정하자. 재료가게에서 냉면 재료를 만들어 팔아 얻은 3천원은 처음에는 아무것도 없던 상태에서 새로 덧붙은 가치이다. '냉면옥'이 냉면을 만들어 파는 단계에서도 새로 가치가 덧붙는다. 손님에게 냉면 한 그릇을 팔고 받는 7천원에서 3천원어치의 재료 값을 빼고 남는 4천원은 식당 '냉면옥'이 생산과정에서 새로 덧..

넓게 본 경제, 좁게 본 경제 경제의 움직임을 전체적으로 넓게 볼 수도 있고, 경제 전체를 이루는 부분들을 자세히 들여다 볼 수도 있다. 숲과 나무 가운데 주로 나무를 들여다보는 식으로 좁은 시각에서 보는 경제의 움직임. 예를 들자면 개별 기업이나 소비자의 경제행동을 '미시경제'라고 한다. 반면 숲과 나무 가운데 숲을 보는 식으로 한 나라의 경제 전체가 움직이는 모습을 볼 수도 있다. 이렇게 시야를 넓게 해 바라보는 경제를 '거시경제'라 부른다. 경제 상태가 어떤지 알려주는 경제지표 경제가 어떻다고 흔히 말하기는 하지만 실상 경제는 구체적으로 눈에 보이거나 손에 잡히는게 아니다. 그렇다면 경제가 좋아졌다느니 나빠졌다느니 하고 평가하는 얘기는 무엇을 기준으로 하는 말일까? 여기에 쓰이는게 '경제지표'이다...

경제란 무엇일까?? 사람이 살려면 물질과 정신 양면에서 여러가지 욕망이 채워져야 한다. 식욕을 채우려면 '쌀'을 사서 밥을 지어먹어야 하고 대학입학시험을 준비하려면 참고서를 사서 봐야 한다. 여기서 쌀이나 참고서처럼 사람들의 욕망을 채워주는 물건을 '재화'라고 부른다. 사람들의 욕망을 채워주는 것은 쌀이나 참고서처럼 눈에 보이고 손으로 만져볼 수 있는 물건에 그치지 않는다. 이삿짐을 날라주는 사람들의 수고는 눈에 보이지는 않아도, 이사를 원하는 사람의 욕망을 채워주는 또 다른 '재화'다. 이처럼 눈에 보이지 않는 타인의 수고를 담은 재화를, 눈에 보이고 손으로 만져볼 수 있는 보통 재화와 구별해 '용역(서비스)'이라고 부른다. 누군가 재화와 용역을 생산해서 시장에 내놓으면 사람들은 대가를 치르고 손에 넣..